4 August 2025, https://blog.naver.com/purun8
Review (KO)

보는 것에 대해, 듣는 것에 대해 그리고 기록하는 것에 대해 : 본다고 모두 보는 것도, 듣는다고 모두 듣는 것도 아니다

About seeing, hearing, and recording: Not everything you see is seeing, and not everything you hear is hearing.

오래 전, "포스트드라마연극(das postdramatisches Theater)" 이론과 실천들 주변을 기웃거리기 시작하면 서부터, 반했던 또 한 명의 예술가 하이너 괴벨스(Heiner Coebbels). 그를 국립현대미술관(서울)에서 만났 다. 이번 그의 공연을 보면서, 그는 진즉부터 우리가 이제와는 다르게 무엇을 해야하는지, 그를 위해 예술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끊임 없이 질문하며 작업을 이어온 예술가 중 한 사람임을 다시 한번 확인 했다. 공연 관람 전, 간단한 소개 자료를 찾아보니, 25년 전 그가 교토 겐코 사원을 방문했을 당시 마음에 새겼 던 기억과, 헨리 데이비스 소로(Henry David Thoreau)라는 미국작가가 월든이란 호수 근처 숲에서 혼자 생 활하며 마주한 자연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아 쓴 수필집을 바탕으로 창작한 것이라고 한다.

극장 문을 열고 들어가는 순간부터, 캄캄한 극장 공간 정면의 커다란 원과 정사각형 선이 가장 먼저 눈에 들 어온다. 출입구와 연결된 벽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의자 중 하나에 자리를 잡고 앉는다. 늘 그렇듯, 이번 그의 공연의 퍼포머 역시 인간이 아니라, 다양한 사운드와 진동, 조명, 어둠, 물과 사물 등이다. 한 시간여 동안 공간 은 영어와 독일어를 포함해 낯선 언어들로 텍스트를 읽거나 말하거나 노래하는 누군가들의 (간혹 주술적이기 도 한 음성과 어린 아이의 목소리로 채워진다. 그리고 그 위로, 바람인듯 물결인듯 정확하지는 않지만 분명 존재하는 자연의 무언가에 가닿거나, 상당히 비트가 강한 사운드들이 다양한 각도와 질감의 빛과 어둠들과 연 속해서 교차 배치된다. 중간중간 영어와 독일어 음성에 기대어 얼추 말의 내용에 귀 기울여본가. 소소한 일상 에서부터 정치적 분위기가 강한 것까지 그 마저도 통일되어 있지 않다.

하이너 괴벨스 공연 답게 하나의 일관된 선형적 서사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기에, 관객인 나 또한 이번에도 뭔가를 꼼꼼히 엮어 듣고 보고 이해하려는 강박증을 진즉 털어버린다. 그러면서 공연 내내 들렸던 것이 들리 지 않게되고, 들리지 않았던 것이 들리게 되고, 보였던 것이 보이지 않게 되고, 보이지 않았던 것이 보이게 되 는 리좀적 파동에 나를 섞는다. 그러는 사이, 정면의 원과 사각형에 내 감각이 거듭 가닿는다. 본다는 것에 대 해, 듣는다는 것에 대해 다시 생각한다.

원과 사각들, 그것은 바로 하이너 괴벨스 자신, 그리고 헨리 데이비드 소로, 그리고 나를 비롯한 인간이 자연 을 비롯한 타자들을 내다 보고 느끼는 창틀 같은 것이다. 일차적으로는 하이너 괴벨스와 헨리 데이비드 소로 가 각각 사찰 안에서, 그리고 숲속 자기 집안에서숲을 내다보는 창문 같은 것을 의미하면서, 더 나아가 우리 역시 자연, 세상을 보고 듣는 시각들, 감각를 같은 것이다. 우리는 모두 자신의 프레임으로 세상을, 대상을 보 고 듣고 판단한다. 자기 중심적인 시각과 감각, 그 제한적 프레임에 갇혀, 판단하고 평가 분류한다. 그런데 그 렇게 해서 우리는 과연 모든 걸 정확히 표현하고 감각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근대의 그 원근법적 시각중심주 의의 환영에서 이제 더 늦기 전에 벗어나야하지 않을까. 그것이 바로 하이너 괴벨스가 헨리 데이비드 소로에 공감하며 함께 공유했던 생각이다.

공연을 보고 나중에 알았지만, 공간에 들리던 음성들은 존 케이지(ohn Cage), 하이너 뮐러(Heiner Miller),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마리나 아브라보미치(Marin Abramovic) 등의 목소리였다고 한다. 그 외 다 소 신화적인 느낌의 언어들은 그루지아, 아제르바이젠, 아르메니아, 시베리아, 그리스어 등이었고. 그러면서 어찌보면 그 하나하나의 것들 역시 결국은 이들 각자가 '자기 창문'으로 보고 판단한 것이 노래로, 텍스트, 이 론으로 만들어진 것은 아니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일상의 소소한 일들에 대한 것도, 예술도, 학문도 모두 가.


언어의 경계도 지워지고, 텍스트와 소리의 경계도 지워지고, 학문적 이론과 일상에 대한 일반적 느낌 사이의 어떤 위계도 존재하지 않는 가운데, 그 위로 역시 다양한 사운드들과 빛과 어둠이 거듭 포개어졌다 흩어지는 공간.

내 안에 질문들이 하나하나 쌓여간다. 그렇다면 나는 무엇을 어떻게 보고 들어야 하는가. 앞으로도 여전히 보 여주는 대로 보고 들려주는 대로 들을 것인가. 혹은 내 중심으로 판단하고 해석할 것인가. 나의 틀과 맞지 않 는 것은 그냥 무의미한 것으로 분류해 지우고 흘려버리고, 심지어 일방적으로 기호화시켜버릴 것인가....

내게 이 공연을 하나의 점으로 가닿은 과정이 아니라, 다시 한번 '하나의 틀' 그리고 소실점에 대한 강박증 적 집착을 하나하나 지우고 벗겨내는 과정 그 자체였다. 그리고 이처럼 각각의 것들이 어떤 내적 연관성을 전 제로 조합, 구성되지 않고, 말 그대로 평평한 그물처럼 병렬 배치되고, 그래서 서로가 서로를 탈기호화하고 탈 구조화시키는 것은 관객을 진정한 주체로 다시 세우는 생산적 해체임을 다시 확인한다.

하이너 괴벨스, 예술가이자 사회학자로서 그는 본래부터 단일한 '하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있는 것은 오로지 '다름'이라는 신념을 일관되게 가져왔던 사람이다. 그렇기 때문에 미디어가 되었건 오페라, 연극이 되 었건 이제까지 무대에 존재할 수 없었던 낯선 언어들이 더 많이 무대에 올리는 것이 자신이 수행해야하는 역 할이라 생각한다. 또한 그에게 관객 역시 절대 하나의 단수가 아니라, 하나하나 다른 복수 존재이다. 예술가로 서 그가 하나의 예술작품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답을 찾게 하는 것에 관심이 없는 또 하나의 이유이다. 관객은 자신의 작업 안에서 하나의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기 위치를 찾아갈 것이라고 믿는다. 낯선 존재 를 이해할 수 없다고 거기에서 등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럴 수록 다가가야 한다는 것, 그것이 그가 자신의 예술의 기반이자 그를 통해 관객과 공유하고자 하는 핵심이다.

그는 그것이 바로 정치적인 것이라고 말한다. 예술가는 정치적 관점으로 예술을 할 것이 아니라 예술로 정 치를 해야 한다. 관객이 스스로 세상의 학습된 틀을 깨고,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 목소리, 존재들에게 다가 가도록 길을 여는 것, 그게 예술이 수행해야할 진정한 정치성이다. 한스-티스 레만(Hans-Thies Lehmann)이 연극이 해야할 것은 '정치극을 만드는 것(to make politic theater)'이 아니라, ,'연극을 정치적인 것으로 만드

는 것(to make theater political)'이라 말했던 것과 같은 맥락이다. 관객 스스로 세상으로부터 학습된 감각의 틀에서 벗어나, 낯설고 불편한 골짜기를 스스로 넘어가면서 왜 세상을 다르게 보고 느껴야하는지 그 이유와 필요성에 대해 생각하며, 자기 주체적 행동을 시작하는 것.

Heiner Goebels! Danke schön für Ihre künstlerischen Überzeugungen und deren Praxis!





https://blog.naver.com/purun8

Long ago, as I began exploring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postdramatisches Theater," I was captivated by another artist: Heiner Goebbels. I met him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Watching his performance, I was reaffirmed that he is one of those artists who has consistently questioned what we should do differently and what art can do for us. Before the performance, I looked up a brief introduction and found that it was based on a memory he had engraved in his mind 25 years ago when he visited the Kenko Temple in Kyoto, as well as on Walden, a collection of essays written by the American author Henry David Thoreau, which captures his reflections on nature while living alone in the woods near Walden Lake.
From the moment I open the theater doors and step inside, the first thing I notice is the large circle and square lines lining the darkened space. I take a seat in one of the chairs lined up along the wall connecting the entrance. As always, the performers in his performances are not human, but various sounds, vibrations, lights, darkness, water, and objects. For about an hour, the space is filled with the voices of people reading, speaking, or singing texts in unfamiliar languages, including English and German (sometimes even incantatory, and the voices of children). Above this, sounds, like wind or waves, touch something in nature that is not precise but definitely present, or with a strong beat, are continuously interwoven with light and darkness of various angles and textures. Occasionally, leaning into the English and German voices, I try to attune to the content of the words. From the trivial everyday to the politically charged, even this is unified.

As is typical of Heiner Goebbels performances, there is no such thing as a single, consistent linear narrative. Therefore, I, as an audience member, quickly abandon my compulsion to meticulously weave together, listen, see, and understand. In doing so, I find myself immersed in the rhizomatic ripples in which what was heard becomes inaudible, what was unheard becomes audible, what was seen becomes invisible, and what was unseen becomes visible. Meanwhile, my senses are repeatedly drawn to the circles and squares in front of me. About seeing, Rethinking what it means to listen.

Circles and squares are like windows through which Heiner Goebbels himself, Henry David Thoreau, and myself—humans—view and perceive nature and others. Primarily, they signify the windows through which Heiner Goebbels and Henry David Thoreau, respectively, looked out upon the forest from their temples and their homes in the woods. Furthermore, they signify the same perspectives and senses through which we see, hear, and perceive nature and the world. We all see, hear, and judge the world and its objects through our own frames. Trapped within these self-centered perspectives and senses, we judge, evaluate, and categorize. But can we truly say we accurately express and perceive everything? Shouldn't we break free from the illusion of modern, perspectival perspective-centrism before it's too late? This is precisely the thought Heiner Goebbels shared with Henry David Thoreau.

After seeing the performance, I found out that the voices heard in the space were those of John Cage, Heiner Müller, Hannah Arendt, and Marina Abramovic. Other languages that sounded somewhat mythical included Georgian, Azerbaijani, Armenian, Siberian, and Greek. And then, in a way, I thought that each of these things were ultimately created as songs, texts, and theories based on what each of them saw and judged through their own 'windows'. Things about the little things in everyday life, art, and academia are all the same.

The boundaries between language and sound are erased, and no hierarchy exists between academic theory and the general feeling of everyday life. Above this, a space where diverse sounds, light, and darkness overlap and disperse.

Questions pile up within me. So, what and how should I see and hear? Will I continue to see what is shown and hear what is told? Or will I judge and interpret based solely on my own perspective? Will I simply categorize and discard what doesn't fit my framework as meaningless, or even unilaterally symbolize it?

For me, this performance wasn't a process of converging into a single point, but rather a process of erasing and stripping away, one by one, my obsessive obsession with "a single frame" and vanishing points. And this process of each element, not assembling or organizing based on some presupposed internal connection, but juxtaposing them like a literal flat net, thereby desymbolizing and destructuring each other, reaffirms the productive deconstruction that re-establishes the audience as a true subject.

Heiner Goebbels, as an artist and sociologist, consistently held the belief that there is no single "one," that there is only "difference." Therefore, whether in media, opera, or theater, he believes it is his role to bring to the stage more unfamiliar languages previously unavailable on stage. Furthermore, for him, the audience is never singular, but rather a multitude of distinct beings. This is another reason why, as an artist, he is not interested in ensuring that a single work of art is fully understood and answered. He believes that the audience will not seek a single answer within his work, but will find their own place. Rather than turning away from an unfamiliar being because we cannot understand it, we must approach it the more we do so. This is the foundation of his art and the core of what he wants to share with the audience through it.

He says that this is precisely what is political. Artists should not create art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but rather engage in politics through art. The true political nature of art lies in allowing audiences to break free from the learned frameworks of the world and reach out to the unseen and unheard voices and entities. This is in line with Hans-Thies Lehmann's assertion that the role of theater is not to "make political theater," but rather to "make theater political." It's about audiences breaking free from the frameworks of their learned senses, crossing unfamiliar and uncomfortable valleys, pondering the reasons and necessity for seeing and feeling the world differently, and embarking on their own initiative.
...
on: Genko An - 03062 Seoul (Installation)